티스토리 뷰
우리는 보통 자신에 대해 남들과 비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남들과 비교해 내가 우위에 있다면 위안을 받고, 반대로 그렇지 못하다면 씁쓸해지기 마련인데 누군가와 비교하게 되는 심리는 인간 본연의 심리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궁금해 해 볼만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바로 자신의 연봉이 우리나라에서 몇 등 정도 하는지에 대한 것일겁니다.
100% 정확한 데이터는 아니더라도 꽤 신뢰할만한 출처를 통해 그 결과를 알 수 있다면 꽤 재미있는 일일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방법을 여러분께 소개해봅니다.
국세통계포털로 내 연봉 상위 몇 퍼센트인지 조회하는 방법
먼저 국세통계포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세통계포털 : https://tasis.nts.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cm/index.xml
여기에서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
사이트 상단 메뉴에서 '테마통계 > 통계로 보는 소득' 메뉴로 접근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총 5단계에 걸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 소득구분 - 근로소득자인지, 종합소득자인지
- 귀속연도 - 가장 최근걸로 조회하면 됩니다.
- 지역 -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을 선택합니다.
- 성별 - 자신의 성별을 선택합니다.
- 나이와 연소득 - 나이대와 연봉을 입력합니다.
바로 아래 화면과 같이 조회하시면 됩니다.
모든 항목을 다 입력하고 맨 하단에 [결과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클릭시 아래와 같은 팝업이 노출됩니다.
팝업의 내용은 국세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공되는 체험형 서비스라는 것을 명확히 고지하고 있습니다. 전국민의 모든 소득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주 정확한 자료는 아닐 수 있으니 그저 재미삼아 참고만 하시는게 좋습니다.
안내를 확인하고 [예]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저의 기준으로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회한 결과입니다.
참고로 이 자료의 출처는 국가 전산망에 등록된 정보를 참고하니 비교적 신뢰할만한데요.
근로소득의 경우 국세청의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지 및 성, 연령)의 자료를 출처로 활용하고, 종합소득의 경우 총수입금액에서 납부세액까지 산출 현황 자료를 참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신의 연봉 수준이 궁금하신 분들은 그저 재미삼아 한 번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한편 이번에 소개한 국세통계포털 외에도 직장인들이 사용하는 블라인드앱에서도 연봉 등수 계산기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다음 글에서는 블라인드 앱을 통해 내 연봉이 몇 등 정도 수준인지에 대해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다음글 : https://balahk.tistory.com/217
내 연봉 몇 등인지 조회하는 방법 2편 - 블라인드 앱 연봉 등수 계산기
자신의 연봉이 어느정도 수준이 되는지 조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두번째 글입니다. 지난 1편에서는 국세통계포털을 통해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렸는데, 이번에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사용
balahk.tistory.com
- Total
- Today
- Yesterday
- 법인사업자
- 법인공동인증서복사
- 신한은행기업
- 부동산계산기
- 중고나라
- 신한은행
- 신용카드해지
- 보험계약대출
- 아이디도용
- 기본증명서상세
- 증명서발급
- 동행복권
- 신한카드
- 재산세계산
- 재산세납부
- 홈택스
- 가족관계증명서
- 정부24
- 용돈벌이
- 재산세
- 인터넷뱅킹
- 주민센터
- 법인공동인증서
- 앱테크
- 대출서류
- 건강보험료
- 케이뱅크
- 청약홈
- SRT환불
- 연봉등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