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가끔씩 로또복권을 삽니다. 언젠간 1등에 당첨될거라는 기대를 하면서 말이지요.

하지만 로또 1등 당첨은 아마 제 평생에 있어 절대 경험할 수 없는 일이라는걸 잘 압니다. 그래도 한번 사두면 일주일간 행복한 상상을 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복권을 구입하는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얼마전 야심차게 로또를 3장 샀습니다. 총 1만5천원어치요.

하지만 결과는 처참했습니다.

그 흔한 5등 조차 당첨되지 못하고 제가 구입한 로또 복권은 모두 쓰레기통으로 직행했습니다.

쓰레기통으로 직행한 로또복권

다음주에 또 로또 몇장 사서 다시 행복에 부푼 일주일을 보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렇게 사다보면 저에게도 언젠간 1등 당첨이라는 행운의 날도 오겠죠.

 

문득 로또에 당첨되면 세금을 얼마나 내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로또 복권 당첨 시 각 등수별로 얼마만큼의 세금을 내는지 계산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로또복권 당첨금 비과세가 있다고?

 

이미 알고 계실지 모르겠지만 올해부터 로또 당첨금 수령제도가 바뀌었습니다.

기존에는 비과세 기준이 4등 당첨인 5만원까지만 비과세가 적용됐었습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비과세 기준이 20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즉, 올해부터는 3등에 당첨되어도 당첨금이 200만원을 넘지 않으면 세금을 한푼도 안낼 수 있습니다.

이는 로또 뿐만이 아니라 연금복권 등 다른 복권당첨금도 마찬가지입니다.

 

비과세가 아닌 당첨자는 과세를 위해 각종 개인정보를 제공해야 했으나, 올해부터는 이러한 절차가 사라져 은행에서 즉시 수령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수령 당첨금이 줄어들거라고 기대하고 있다는데 저는 잘 이해가 가지 않네요. 저는 당첨금 1만원이라도 준다면 개인정보를 기쁘게 제공할 준비가 되어있는데 말이죠.

어쨌든 당첨금을 수령하는 절차가 간소해진 것은 좋은 일인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5만원짜리 4등조차 당첨된 경험이 없긴 하지만요.

 

로또복권 당첨금 세금 계산하는 방법

 

자, 그럼 이제부터 200만원 이상의 당첨금을 수령하는 경우를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당첨자들은 수령시 얼마의 세금을 떼고 실수령을 하게 될까요?

 

일단 지난 1088회 당첨결과를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1등은 인당 약 24억원이고, 2등은 약 4,748만원입니다. 3등은 149만원으로 200만원을 넘지 않는 금액이니 비과세가 되겠네요. 

그러면 1등과 2등은 각각 세금을 얼마나 떼게 될까요?

먼저 당첨금은 소득세 법에 따라 세금이 계산되는데요. 복권 당첨금은 기타소득에 해당해 기존의 나의 소득과 무관하게 별도로 계산이 됩니다. 순전히 당첨금에 대해서만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인 것이지요. 따라서 10억 연봉자나 2천만원 연봉자나 복권당첨금은 동일한 세율이 적용됩니다.

 

당첨금에 대한 세금은 3억 초과인 경우 33%, 3억 이하는 22%의 세금이 공제됩니다.
앞서 예시로 든 1등 당첨금 24.3억 중 실수령액은 16.6억원인데요.

 

3억원까지는 22%가 적용되어 6600만원의 세금을 내게 되구요.

나머지 21.3억에 대해서는 33%가 적용되어 약 7억원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면 좀 더 쉽게 이해가 되실 것 같네요.

 

2등은 웬만해서는 당첨금이 3억을 넘어가지 않을거기에 당첨금에서 세율 22%를 곱해주면 세액이 바로 나오기에 계산이 좀 간편합니다. 

 

하지만 이 계산법을 굳이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당첨되었다면 알아서 세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만 수령하게 될 것이고, 설령 궁금하더라도 네이버에서 "로또 세금 계산기" 라고 검색만 하면 쉽게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처럼 당첨을 꿈꾸는 사람들은 재미삼아서 한번씩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Total
Today
Yesterday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